이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다. 아래의 주석을 풀면 다음과 같다.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skin version="0.2">
<title xml:lang="ko">user_board</title> //스킨의 제목
<title xml:lang="en">user_board</title>
<description xml:lang="ko">게시판 스킨 제작 실습을 위한 user_board 입니다.</description> //스킨 설명
<description xml:lang="en">This is user_board for creating a board skin.</description>
<version>1.0</version> //버전
<date>2010-12-24</date> //스킨 제작 날짜
<author email_address="user@user.com" link="http://user-define.com/"> //제작자 이메일과 사이트
<name xml:lang="ko">제작자 이름</name>
<name xml:lang="en">Author Name</name>
</author>
<license>LGPL v2</license> //라이센스
<extra_vars> //게시판 스킨 확장변수
<var name="title" type="text"> //텍스트 타입의 응답을 받음
<title xml:lang="ko">게시판 제목</title>
<title xml:lang="en">Board Title</title>
<description xml:lang="ko">작성하면 화면에 표시 됨</description>
<description xml:lang="en">This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you write.</description>
</var>
<var name="comment" type="textarea"> //글상자 타입의 응답을 받음
<title xml:lang="ko">게시판 설명</title>
<title xml:lang="en">Board Details</title>
<description xml:lang="ko">작성하면 화면에 표시 됨</description>
<description xml:lang="en">This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you write.</description>
</var>
</extra_vars>
</skin>
이 정보를 원하는 대로 수정한 다음 board/skins 폴더에 업로드한다. 모습은 다음과 같다.
'자유잡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황 (0) | 2018.02.16 |
---|---|
[XE 1.x 강좌] 4.2. skin.xml의 구조 (0) | 2017.08.21 |
[XE 1.x 강좌] 4.1. 게시판 스킨의 구조 (0) | 2017.08.21 |
20170502 블로그 리뉴얼 (0) | 2017.05.02 |
[XE 1.x 강좌] 3.6. 반응형 레이아웃 (0) | 2017.02.24 |
[XE 1.x 강좌] 3.5. 레이아웃 상단 코딩 3(검색창), 컨텐츠 영역, 하단 코딩 (0) | 2017.02.24 |